약사법 개정으로 달라진 CSO 신고제와 특수관계 거래 금지

최근 약사법 개정으로 인해 의약품 판촉영업자(CSO)에 대한 신고제 도입특수관계 거래 금지 조항이 새롭게 시행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제약업계와 의료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으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정된 약사법의 주요 내용과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CSO 신고제 도입의 배경과 주요 내용

CSO란 무엇인가?

CSO(Contract Sales Organization)는 제약회사로부터 의약품 판매촉진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조직을 의미합니다. 그동안 CSO는 법적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어 불법 리베이트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왔습니다.

 

 

CSO 신고제의 도입 배경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의약품 판촉영업자에 대한 관리와 투명성 제고를 목표로 CSO 신고제를 도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CSO의 영업 활동을 공식적으로 관리하고, 불법적인 행위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합니다.

CSO 신고제의 주요 내용

  • 신고 의무화: 모든 CSO는 의약품 판매촉진 업무를 수행하기 전에 관할 당국에 신고해야 합니다.
  • 교육 이수: CSO는 신고 전 24시간의 신규 교육매년 8시간의 보수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 위탁계약서 작성 및 보관: 의약품 판매촉진 업무를 위탁받을 경우, 위탁계약서를 작성하고 이를 보관해야 합니다.
  • 재위탁 시 통보 의무: 위탁받은 업무를 다른 CSO에게 재위탁할 경우, 30일 이내에 원 위탁자에게 서면으로 통보해야 합니다.

특수관계 거래 금지 조항의 신설

특수관계인이란?

특수관계인의약품 공급자와 경제적 또는 친족 관계 등으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자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관계는 공정한 거래를 저해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특수관계 거래 금지의 필요성

특수관계인 간의 거래는 리베이트 등의 부정한 이익 제공과 불공정 거래의 우려가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특수관계인 간의 의약품 판촉영업을 금지하는 조항이 신설되었습니다.

특수관계 거래 금지의 주요 내용

  • 의료기관 개설자 포함: 기존에는 의료기관 개설자만이 CSO 활동이 제한되었으나, 이번 개정으로 봉직의(고용된 의사)CSO 활동이 금지되었습니다.
  • 특수관계인 간 거래 제한: 의약품 도매상뿐만 아니라 의약품 판촉영업자특수관계인 간의 거래를 제한하여 유착관계로 인한 불공정 거래를 방지하고자 합니다.

개정된 약사법의 영향과 전망

제약업계의 변화

  • 투명성 강화: CSO의 신고제 도입으로 의약품 판촉 활동의 투명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교육 비용 증가: CSO는 의무 교육 이수로 인한 시간적·경제적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계약 관리 강화: 위탁계약서 작성 및 재위탁 통보 의무로 인해 계약 관리 업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의료계의 변화

  • 봉직의의 CSO 활동 제한: 봉직의의 CSO 활동이 금지됨에 따라 의료인의 부업 활동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특수관계 거래 제한: 특수관계인 간의 거래 금지로 인해 의료기관과 제약사 간의 거래 구조에 변화가 예상됩니다.

결론

이번 약사법 개정은 의약품 판촉영업의 투명성 제고불공정 거래 방지를 위한 중요한 변화입니다. 제약업계와 의료계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내부 시스템을 정비하고, 법적 준수 사항을 철저히 이행해야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건전한 의약품 유통 질서가 확립되기를 기대합니다.